천안문 광장 시위는 1989년 중국의 민주주의,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는 학생 주도의 시위였습니다. 민주화 시위대는 1989년 4월 중국에서 민주화 개혁을 도입했던 후야오방이 사망한 후, 그를 애도한다는 명목으로 처음으로 천안문 광장으로 행진했습니다. 학생들은 행진하면서 전국적으로 보다 개방적이고 민주적인 정부를 요구했습니다. 결국 수천 명의 사람들이 천안문 광장에서 학생들과 합류했고 5월 중순까지 시위의 숫자는 수만 명으로 증가했습니다. 시위는 1989년 6월 4일과 5일에 중국 정부에 의해 천안문 광장 대학살로 알려진 치명적인 진압으로 중단되었습니다.
당초 1989년 5월에는 덩샤오핑과 고르바초프는 ‘30년 만의 중·소 화해 회담’ 예고되었습니다. 당시 베이징에는 전 세계에서 수많은 외국기자들이 몰려와 취재를 벌였다. 중국공산당에 불만을 갖고 있던 베이징대 학생들은 마침 외국기자들이 베이징에 와 있다는 점을 활용하기 위해 시위를 계획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 4월 15일 후야오방 중국공산당 총서기가 심장마비로 갑자기 사망하자, 애도를 명목으로 시위를 시작했습니다.
대규모 시위에 대한 폭력적인 진압에 대한 정부의 경고를 무시하고 40개가 넘는 대학의 학생들이 4월 27일 천안문으로 행진하기 시작했습니다. 1949년 공산주의 지도자 마오쩌둥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선포한 장소가 천안문이었습니다. 5월 20일 정부는 공식적으로 베이징에 계엄령을 선포했고 반체제 인사를 해산하기 위해 군대와 탱크를 소집했습니다. 그러나 많은 학생과 시민들이 군대의 진격을 막았고, 5월 23일 정부군은 베이징 외곽으로 철수했습니다.
6월 시위를 종식시키기 위한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중국 정부는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천안문을 되찾으라는 명령을 군대에 전달합니다. 중국군은 천안문 광장과 베이징 거리를 강제로 폐쇄하여 수백 명의 시위대를 죽이고, 반체제 용의자를 체포했습니다. 정부의 탄압이 있은 후 몇 주 동안 알려지지 않은 수의 반체제 인사들이 처형되었고 공산주의 강경파들이 국가를 확고히 장악했습니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이 10년째 되던 해에 발생한 시위였습니다. 시위를 유혈진압한 중국공산당 지도부는 더욱더 경제발전에 매달렸습니다. 그래야 체제의 정당성이 그래도 유지될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사회는 이 사건에 격분하여, 미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의 경제제재로 중국 경제는 잠시 쇠퇴했습니다. 그러나 1990년 후반에는 중국이 수감된 반체제 인사 수백 명을 석방한 덕분에 국제 무역이 재개되었고, 경제발전은 계속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