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연합군에게 패배를 인정하기 전부터 국내 전선에는 불만과 무질서가 지배했습니다. 공장 노동자와 군대 내 반란이 있었고, 1916년부터 독일은 기본적으로 최고군사령부라는 군사독재 하에서 운영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1918년 10월 말 패배가 임박하자 힌덴부르크는 동맹국과 휴전 협상을 하기 위해, 카이저 빌헬름 2세와 독일 정부에 시민 정부를 세울 것을 주장했습니다.
공화국의 헌법을 제정한 장소가 바이마르였기에 헌법과 국가가 바이마르로 불리게 됩니다. 1919년 제정된 ‘바이마르 헌법’ 제1조는 “독일국은 공화국이다. 국가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고 규정, 국민주권 원칙을 분명히 했습니다. 그렇지만, 바이마르 공화국 14년 동안 21개의 내각이 들어서며 혼란에 빠졌습니다. 1차 세계대전 승전국들의 지나친 전쟁 배상금 요구하고, 대공황이 겹치면서 바이마르 공화국은 무너지고 맙니다. 이후 독일은 히틀러의 국가사회주의독일노동자당이 이끄는 전체주의 체제가 성립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