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핑커의 ‘우리 본성의 선한 천사’는 한마디로 인류 역사에서 폭력은 꾸준히 감소했다고주장합니다. 계량역사학이 정리해 놓은 방대한 수치, 그리고 심리학과 게임이론, 뇌과학 등 연구 성과를 인용해 그 근거를 제시합니다. 그의 계몽주의적 진보론은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로부터 광범위하게 비판받아왔습니다. 역사학계도 증명하려는 스티븐 핑거의 주장에 비판적입니다.
핑거의 주장은 본래 노베르트 엘리아스의 것입니다. 그에게 문명화란 ‘폭력을 순화하고 예의가 존중되는 사회’입니다. 스티븐 핑커는 서구 문명과 자본주의가 본질적으로 폭력적이고, 불평등하고, 부정의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핑커에 따르면, 폭력은 말하자면 일탈 현상입니다. 스티븐 핑커는 ‘폭력이 줄어든다는 주장’을 데이터로 증명하려고 했습니다. 자연스럽게 그의 통계적 증거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소지까지 있습니다. 그는 때로 반대증거를 무시하거나,매우 취약한 정량적 증거를 근거로 광범위한 결론을 내립니다.
일찍이 지그문트 바우만은 현대문명의 비폭력성을 환상이라고 말합니다. “문명화 과정에서 일어난 것은 폭력의 재배치”라고 합니다. 폭력의 존재가 없어진 것이 아니라 단지 시야에서 사라졌을 뿐이라고 말합니다. 인류 역사에서 폭력이 줄어든 것처럼 보이는 것은 착시 현상이라고 합니다. 유사 이래 지속된 만인 대 만인의 투쟁을 종식하기 위해, 개인의 무력 행사권을 국가에 일임한 것이 근대의 시작입니다. 부부 싸움에 국가가 개입할 수 있는 근거가 거기 있습니다.
폭력을 독점적으로 소유한 국가는 관료제·자본·기술과 연계하여 상비군을 창설합니다. 지난 2세기 동안 국가의 이름으로 벌어진 전쟁의 사망자는 그 전세기의 전쟁에서 생긴 사망자를 모두 합한 것보다 많으며, 폭력이 관료제의 일부가 됨으로써 오히려 합리화되는 경향을 낳았습니다. 인간 본성 속의 천사가 내면의 악마에게 승리를 거두었다면, 돌도끼와 활로 무장을 했던 미개인보다 핵무기와 미사일로 무장을 한 현대인이 천사에 더 가까운 것일까요?!
역사학자들은 폭력의 심원한 역사를 연구하는 것에 전적으로 찬성합니다. 다만 이 폭력의 역사에서는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를 역사의 최전선과 중심에 두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문제는 ‘이러저러한 시기는 얼마나 폭력적이었나’가 아니라 ‘이러저러한 시기는 어떻게 폭력적이었는가’를 설명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우리 본성의 악마와 그 악마를 부추기는 힘도 섬뜩하게 설명합니다. 우리 안의 악마를 억누르고 천사를 북돋우려면 정교한 사회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