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된 후 45년이 지나고, 1961년 건설된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지 1년도 채 되지 않았습니다. 장벽이 무너진 후 통일을 위한 논의가 시작했습니다. 통일 2개월 후 독일 전체 선거가 실시되었습니다. 헬무트 콜이 통일 독일의 초대 수상이 되었습니다. 독일의 통일은 냉전의 종식을 의미했습니다.

그런데, 독일은 통일은 아직 미완이라고 합니다. 국내외 독일 전문가들의 펴낸 <미완의 독일통일 – 독일통일 30년을 돌아보며>는 베를린 장벽 철거 30주년 기념식으로부터 독일 통일의 현재 모습을 되새김질 합니다. 

베를린을 감싸고 있던 거대한 콘크리트 장벽은 무너졌지만, 새로운 장벽 곧 ‘머릿속의 장벽’이 세워졌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동서독을 갈라놓고 있는 침묵과 소외의 장벽들이 생겨났다고 합니다. 독일의 통일 과정은 서독의 입장에서는 ‘흡수’였고, 동독의 입장에서는 ‘과거의 청산’이었기 때문입니다.

통일로 동독인들은 정치적 기본권을 보장받았습니다. 그렇지만 동독인들은 사회·경제적 기반이 상실된다는 아픔을 겪었습니다. 동독인들이 서독의 민주주의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동독인들의 이같은 경험은 극우세력인 ‘독일 대안당’에 대한 지지로 표출되고 있습니다. 

동독의 과거 청산은 나치 과거 청산보다도 훨씬 철저하게 수행됐습니다. 100만 명에 달하는 구 동독 공직자들이 자리에서 물러나야 했습니다. 일반인에게 슈타지(Stati, 동독 비밀경찰) 문서 열람을 허용했습니다. 그러자 서로를 감시하고 밀고한 과거사가 그대로 노출됐습니다. 그 결과 가족, 친구, 직장 동료들이 서로 의심하고, 갈등하고, 반목하게 됩니다. 동독의 역사를 ‘불법국가’의 역사로 규정함으로써 과거 동독에서 살았던 동독 주민들의 삶 전체가 불법국가 안에서의 불법적인 삶으로 부정당하는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서독이 주도한 통일 독일의 ‘동독 청산’은 특히 경제적 부문에서 강력하게 진행됐고, 이것이 동독인들의 삶을 뿌리부터 흔들었습니다. 종업원 5000명 이상의 대규모 사업장 150개 중 145개가 공중분해 됐습니다. 사회적 교류를 위한 아지트가 문을 닫고, 기차는 종종 지나쳐 갔으며, 버스의 배차 간격은 길어졌고, 동독은 그저 지방도시이며 서독에 의존하고 있다는 감정이 만연하게 되었습니다다.

통일 이후 몇 년 안에 동독은 개인의 삶에 한층 가혹하게 손을 뻗치는 거친 자본주의의 실험 무대가 되어버렸습니다. 이처럼 광범위한 경제적 피해와 사회적 배척은 동독인의 경험을 만들었고, 수십만의 사람이 민주주의에 대해 의심하도록 만들었습니다.

서독 마르크를 표준으로 한 화폐통합은 동독 기업의 줄도산과 실업자 양산으로 이어졌습니다. 동독지역의 경제가 한순간에 붕괴하는 파멸적 결과를 낳았습니다. 동독 국유자산의 95%가 서독 자본가들의 손으로 넘어갔습니다. 동독 주민들 사이에는 “이것은 통일이 아니라 점령”이라거나 “통합이 아니라 식민화”라는 불만이 터져 나왔다”고 합니다.

Newsletter

1주1책 뉴스레터

* indicates required

댓글을 남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