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없는 R&D(연구개발)를 통해 핵심 역량을 키워 누구도 넘보지 못할 경쟁력을 일구자.” 회장님 말씀이나 경영전략 자료에 흔히 나오는 말이다. 과연 기업 전략 현실을 볼 때 맞는 말일까.
현대자동차가 세계 최고 가솔린 엔진기술을 키워서 성능과 가격에서 압도적인 경쟁 우위를 만들면 세계시장을 석권할까. 구매자가 그 탁월한 성능을 알지 못하거나, 별로 중요하지 않게 여기면, 최고 엔진 기술도 ‘미래를 위한 작은 기반’에 그친다. 전기자동차가 대세가 되면 가솔린 차는 주유소 찾기도 힘들고 엔진 부품 구하기도 어려워진다. 구글·애플이 자동차 두뇌를 장악한 세상이 되면 현대자동차나 BMW는 세련된 디자인에 집중 투자하는 게 나을 수 있다.
스마트폰 시대에 MP3나 카메라 제조사는 어떻게 됐을까. 고객이 가치를 쳐주는 고기능 MP3나 DSLR 카메라는 만들 수 있어야 버틸 수 있다. 아니면 스마트폰 모듈 공급업체로 남아 ‘을’의 설움을 겪어야 한다. 차라리 진동 감지 기술, 실시간 전송 같은 개념으로 모바일 생태계에 맞는 기회를 포착하는 능력이 더 필요할 수 있다.
메이저리그 야구 선수 기용은 기량도 중요하지만 선수 개성이나 중계권료 수입 같은 사업적 요소가 고려된다. 프로 스포츠는 흥행이기 때문이다. 명인이 혼을 담아 내놓은 음반은 세상이 그 가치를 알아보지 못하면 고속도로 휴게소에서 팔리는 ‘이박사 메들리’에게 밀릴 수 있다.
심혈을 기울인 명품 기술과 제품도 세상이 인정해준다는 보장은 없다. 다양한 사용자와 사업자가 맞물린 생태계에서 사업 주도권은 돈을 지불하는 사용자와 접점(user interface)을 확보한 참가자에게 돌아간다. 사용자 체험(user experience)과 감성이 더해지면 사용자 접점은 더 강화된다. 이런 주도적 사업자가 ‘갑’이 되어 혼을 담아 명품 기술과 제품을 만든 ‘을’을 서럽게 한다.
물론, 기술 역량 폭이 넓고 기초연구가 탄탄하면 변화하는 사업 생태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기초가 있어야 다른 기업과 협력도 할 수 있다.
기업에게 기초 기술 역량과 이를 위한 투자는 여전히 중요하다. 다만 그 역량은 결국은 사업 주도권 확보에 도움이 될 때 의미가 있다. 어떠한 형태 변화에도 대응할 수 있는 근본적 역량을 갖추면 될까. 세상 모든 변화를 내다보고 대응할 수도 없고 막대한 돈과 인력이 필요하다.
천하제일 무기를 모아서 난공불락의 성을 만들면 압도적 우위를 누리며 살 수 있을까. 그런 성을 만드느라 막대한 자원을 투입하면 다른 전선에 약점이 생긴다. 2차 세계대전을 앞두고 프랑스가 독일과 국경지대에 쌓은 ‘마지노선(Maginot Line)’이 그런 사례다.
당시 200억프랑이란 천문학적인 재원을 투입해서 300㎞에 달하는 최첨단 요새를 구축했지만, 기갑부대를 앞세운 독일군은 마지노선을 우회해서 전격적으로 프랑스 항복을 받아냈다. 탱크와 비행기를 만들 돈으로 지은 요새가 무력한 콘크리트 더미가 돼버린 셈이다. 그나마 요즘처럼 건물은 두고 사람만 없애는 중성자탄이나 콘크리트를 뚫고 들어가는 벙커버스터가 나오면 마지노선은 더 무기력했을 것이다.
(중앙대 박찬희교수의 칼럼중에서)

교재

급변하는 시대, 전 직원이 한 우물만 팠더니 위클리비즈 2018년 11월 2일자 박찬희

생각할거리/토론 거리

신문업계는 급변하는 시대, 새로운 기회를 어떻게 찾아야 하나?

Newsletter

1주1책 뉴스레터

* indicates required

Join the Conversation

1 Comment

  1. 신문업계는 급변하는 시대, 새로운 기회를 어떻게 찾아야 하나? 라는 질문에서 저는 기사 유료화, 인공지능 도입 두가지 사례를 통해 조선미디어그룹의 새로운 기회를 대해서 모색해 봤습니다. 영국 가디언지는 기사 하단마다 '퀄리티 페이퍼 만드는데 돈이 많이 듭니다'라는 모토로 최소 2파운드 도네이션을 안내하는 알림이 딸려 나가고 있습니다. 독자들의 반응은 2016년 이후 연인원 1백만명 이상이 도네이션에 참여, 그중 60만명 이상이 1회 단발성 기부. 전체 도네이션 총액의 3분의2 이상이 영국 밖의 독자들이 기부. 전세계 170여개국 독자들이 참여했습니다.뉴욕타임스는 2018년 3분기에만 20만명의 유료 디지털독자 신규 추가. 디지털 유료회원은 3백만명을 돌파. 종이신문 구독자 1백만명 포함하면 뉴욕타임스 총 유료 구독자는 총 4백여만명.한마디로 가장 성공적으로 종이신문에서 디지털신문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뉴욕타임스 올해 디지털 수익은 6억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2014년(당시 디지털 수익 4억달러) 야심차게 계획했던 '2020년 8억달러' 목표치의 절반을 달성했다는 의미라고 보여집니다. 지난 2년간 '트럼프 효과'로 예상보다 좋은 디지털 성과를 올렸다는 것을 감안해 본다면 나머지 2년 동안 추가로 2억달러 더 한다고 하는 것이 쉽지는 않아 보이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2011년 디지털 유료화 시동을 건 지 만 7년여만에 6억달러의 디지털 수익을 올린 건 대단한 성과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뉴욕타임스는 자료실의 인화시진 및 필름 등 자료사진 5백만장에 대해 디지타이징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구글의 인공지능 도움을 받아 1870년까지의 자료실의 보관된 자료사진 5백만장에 대한 디지타이징 진행하고 있습니다.위 사례를 조선미디어그룹에 적용한다면 국내에서 가장 성공적인 디지털신문으로 변화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댓글을 남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