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효진 조선비즈 인턴기자 mycitystory.korea@gmail.com
-세검정, 인조반정 당시 칼을 씻으며 태평성대를 기원했던 곳
-차일암, 실록 완성한 후 세초연을 벌였던 연회장
11월 초, 흑백의 역사 속에 갇혀 있던 세검정 터는 수묵 담채화에 색을 입히듯 오색 단풍으로 물들었다.
종로구 신영동 168번지에 자리한 팔각 정자 위로 따사로운 가을 햇살이 내리쬐고 있었다. 이 곳은 백사골 계곡이 북한산 계곡과 만나 홍제천을 이루며 흐르는 중간 지점으로 서울 특별시 기념물 제 4호 ‘세검정’이 있다. 미끄러질 듯 맨질맨질한 바위 위에 세워진 세검정 앞으로는 홍제천의 시원한 물줄기가 흐르며 그 운치를 더했다. 과거부터 맑은 물이 흐르기로 유명한 곳이다.
1960년대 만해도 동네 아낙들은 세검정 터로 나와 토닥토닥 방망이 질을 하며 묵은 빨래를 했다. 물장구 치던 아이들도 몇 번의 자맥질 끝에 꾀죄죄한 몸 때를 벗겼다. 시원한 개울 물 소리와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은 누구나 얻을 수 있는 자연의 선물이었다.
하지만 현재 정자의 모습은 과거 조선 숙종(1674~1720) 때 처음 지어질 당시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 현재 모습은 1941년 종이 공장의 화재로 소실된 이후 겸재 정선의 <세검정도>를 보고 1977년 재복원됐다.
겸재 정선의 그림을 보면 세검정 주변으로 돌 담장이 있다. 또 주변의 굵고 시원스럽게 흐르는 천으로 내려가 발도 담글 수 있는 받침 돌도 있다. 하지만 현재는 그 앞으로 신작로가 생기며 개울로 내려 갈 수 있는 시설물이 없어지고 비탈 진 바위만 있을 뿐이다.
신작로가 들어서면서 과거의 운치는 거의 사라졌다. 인근 주민들 중 “깨끗하고 예쁜 곳이지만 눈에 안 띄어 문화 유산인지 몰랐다”는 의견도 있었다.
과거의 화려함은 각종 사료에서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자연의 경치가 좋았던 과거에 이곳은 문인들이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즐겨보며 머리를 식히고 마음가짐을 새로이 했던 곳이었다.
◆세검정, 인조반정 당시 칼을 씻으며 결의를 다진 곳
최근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가 개봉 한 달 만에 1000만 관객을 돌파하며 흥행 중이다. 이 영화는 왕조 실록과 승정원 일기에서도 사라진 조선 왕조 15일 간의 일을 상상력을 동원해 제작하며 광해군을 재해석했다.
15대 임금 광해군은 재위 기간 동안 국방력을 강화하고 대동법을 실시하는 등 국가 정비에 힘 썼던 왕이었다. 하지만 반대파인 서인 세력을 흡수하지 못했다. 결국 광해군 15년(1623) 서인 세력은 광해군 폐위 문제를 논하고 인조반정을 일으켰다.
구시대를 마감하고 새 시대를 연 서인은 이 곳 정자로 왔다. 흐르는 홍제천 맑은 물에 피 묻은 칼을 씻으며 마음을 새로이 했다. 그들은 이 정자를 세검(洗劍)이라 칭했고 세검정은 새 시대의 영광을 찬미하는 상징이 되기도 했다.
◆차일암, 실록을 완성한 후 세초하던 곳
인왕산을 앞에 두고 북악산을 뒤로하여 경치 좋은 세검정은 ‘차일암’ 위에 세워졌다.
‘차일암’이란 이름은 왕조의 실록을 편찬한 후에 그 원고가 되는 사초를 바위 위에서 차일(천막)을 치고 씻어버린 일에서 유래했다.
실록은 당시 시대 상을 기록한 자료다. 역사를 기록하는 사관만 볼 수 있을 뿐 국왕도 보지 못했던 실록은 왕의 일거수일투족을 기록한 사초를 바탕으로 쓰였다.
일단 실록 편찬이 끝나면 글쓴이인 사관의 신변을 보장하고자 사초를 차일암 위에서 흐르는 물에 씻었다. 그 후 편찬에 참여한 사람들의 노고를 달래기 위해 이 곳에서 세초연을 벌였다. 문인들이 즐겨 찾던 세검정 일대는 정기적으로 세초연을 벌이던 연회장이었던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