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권력의 핵심은 데이터이다.”
빅토르 마이어 쇤베르거(Schonberger·52) 옥스퍼드대 교수는 ‘데이터 자본주의‘저자이자, 세계적인 빅데이터 전문가로 활약하고 있다.
쇤베그러 교수는 “데이터가 금융을 대신하면서 자본주의를 바꾸고 있다”면서 이른바 ‘데이터 자본주의’시대가 활짝 열릴 것이라고 주장한다. 빅데이터 시대는 이미 마윈 등 여러 IT거물들이 예언했다.
쇤베르거 교수는 “자본이 된 데이터가 기업은 물론 금융과 노동, 정부의 역할과 시장의 개념까지 바꿔놓을 것”이라며 자본주의 시스템이 근본에서부터 바뀔 것이라고 본다.
다음은 데이터 자본주의에 대한 쇤베그러교수의 정의다.
“그동안 자본주의는 화폐(돈)를 중심으로 움직였다. 앞으로 데이터가 풍부한 시장에서는 데이터가 화폐의 역할을 대체하고 금융 자본주의 중요성은 크게 줄어들 것이다. 일례로 온라인 쇼핑에 경매 방식을 처음 도입한 이베이는 최근 매력을 잃고 있다.
반면, 우버나 블라블라카 같은 차량 공유업체는 승객과 차량을 연결해주면서 성장했다. 전자가 금융 자본주의라면 후자가 데이터 자본주의다. 가격이 중심이 된 금융 자본주의에서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거래 상대를 찾아내는 데이터 자본주의로의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
교재
돈보다 강하다, 핵보다 강하다. ‘데이터 자본주의’21세기 혁명 위클리비즈 10월 5일자 이재은기자
생각거리, 토론거리
기업은 데이터 자본주의 시대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쇤베르거 교수는 저서 ‘데이터 자본주의’에서 일본 후코쿠생명과 인공지능 스타트업 사베르(Saberr)를 예시로 들었다. 후코쿠생명은 IBM 인공지능(AI) 왓슨에 보험 청구 평가를 맡기고 관련 부서 인력을 줄였다.
사베르는 성격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 업무 궁합이 맞는 사람들을 모아 최적의 팀을 만들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미국 회계법인 딜로이트, 프랑스 명품그룹 LVMH, 영국 생활용품 회사 유니레버 등이 주요 고객이다.
쇤베르거 교수는 빅데이터 시대에는 어떤 결정을 기계에 위임할 것인지를 정하고 데이터의 힘을 빌려 최적의 결정을 내린 다음 서로 협업하는 방식으로 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