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은 먹먹했습니다. 그녀들이 살아낸 삶의 무개와 슬픔때문에…. 누구의 책임이던, 다시는 있어서는 안될 보편적 인권의 문제입니다.
[직장인 독서력] 혁신 성장의 필요조건_이창양교수 칼럼
교재
토론하기
복지 재원의 일부를 연구개발 인력에 투자하려면?
[소셜 리딩]미하엘 옌데의 모모,시간의 비밀
늦둥이가 읽는 ‘마법의 설탕 두 조각’ 덕분에 모모를 만났다. 설탕 두 조각의 저자는 미하엘 옌데이고, 그가 ‘모모’의 저자다. 설탕 두 조각을 읽고 옌데에 호기심을 갖지 않았다면 모모를 읽으려고 생각하지 않았을 것이다.
[분해매핑]책을 오디오 듣고 분해매핑하기_동영상
내용이 긴 책을 분해매핑하는 요령을 안내합니다.
우선 전자책 앱의 TTS기능으로 자투리 시간을 활용해 귀로 듣습니다. 이어 텍스트를 보면서 분해매핑합니다. 먼저 귀로 내용을 들었기에, 책을 보면 어떤 부분이 줄기이고 가지인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가지는 과감하게 생략하고 줄기 중심으로 분해매핑하면 쉽게 내용을 압축할 수 있습니다.
[직장인 독서력]조지프 퓰리처_큰물 뉴욕편_동영상
퓰리처는 정당보조금과 같은 외부 지원을 끊고 구독료와 광고로만 언론을 운영하는 언론사의 재정 독립을 앞장서 이끌었다. 당시 언론들은 대부분 공화당과 민주당과 깊숙하게 연결돼 돈과 인맥이 얽혀 운영됐다. 퓰리처 또 기자들에게 정확한 보도를 강조했다. 퓰리처가 운영했던 ‘뉴욕월드’ 편집국에선 ‘정확, 정확, 정확’이라는 사시가 걸려있었다.
유럽의 왕정을 경험했던 퓰리처는 이민자로서 미국 민주주의의 성장과정을 직접보고 또 정치에 참여하기도 했다. 그런 배경과 경험으로 인해 그는 무엇보다 민주주의 공화국에는 공정한 언론의 역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믿었다. 그는 “내가 꿈꾸는 가장 중요한 목표는 공화국의 복리다. 공화국과 그 공화국의 언론은 함께 흥하고 함께 망하는 불가분의 관계”라고 말했다.
[직장인 독서력]콘텐츠의 미래_기능적 연결관계 편
교재
분해매핑
토론하기
관련 문서
[초등생 독서력]모모 작가 옌데의 마법의 설탕 두 조각
미하엘 옌데는 누구인가?
[직장인 독서력]중국발 전기차 빅뱅과 자동차 산업 지각변동
교재
토론하기
전기차가 스마트폰처럼 하드웨어보다 소프트웨어와 서비스 기반으로 성장할 것인가?
전기차의 경우 판매보다 공유 서비스 모델이 더 유망한가?
이충렬_한국근대의 풍경
그림으로 보는 우리나라 개화기의 풍경이었습니다. 그 시기를 담은 그림과 사진이 이리 많을 줄은 몰랐습니다. 그림으로 지난 역사를 보니 그 시대가 보였습니다. 글자로만 읽는 역사는 한계가 많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날 이충렬선생님의 살아오신 이력과 성실함이 특히 돋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