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in강연후기

윤영관 ‘외교의 시대”

윤영관교수는 노무현정부 외교통상부장관시절에 겪은 경험때문에 ‘외교의 시대’를 쓰게되었다고 합니다. 굵직한 외교현안을 다룰 합리적이고 균형적인 시각이 필요했기때문입니다. 그는 무엇보다 외교전략이전에 원칙과 자세를 중요시합니다. 자국의 이해관계에 투철헌 주인의식 같은 기본중의 기본을… 그는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를 세계질서의 변화가 시작되는 기점으로 봅니다. 곧 미중대결의 시대로, 곧 외교의 시대로.

Posted in강연후기

고혜령 “유관순”

국사편찬위원회 편사부장이었던 고혜령저자는 유관순을 새롭게 바라봅니다. 그녀의 독립운동은 ‘이화학당’이라는 배경속에서 성장한 여성 독립열사입니다. 당시 학교라는 조직을 통해 번져갔던 3.1운동의 특징을 생각한다면 매우 자연스런해석입니다. 그녀의 시신을 거두었던 이도 이화학당의 월터선생이었습니다. 첨부로 1918년 뉴욕타임즈에 ‘Overlooked No More’섹션에 실렸던 유관순기사를 소개합니다.

Overlooked No More: Yu Gwan-sun, a Korean Independence Activist Who Defied Japanese Rule

When a call for peaceful protests came in spring 1919, a schoolgirl became the face of a nation’s collective yearning for freedom.

Yu Gwan-sun took an active part in the March 1, 1919,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 Dying in prison at 17, she became a national hero.
Yu Gwan-sun took an active part in the March 1, 1919,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in Korea. Dying in prison at 17, she became a national hero.

By Inyoung KangMarch 28, 2018한국어로 읽기

Since 1851, obituaries in The New York Times have been dominated by white men. With Overlooked, we’re adding the stories of remarkable people.

SEOUL, South Korea — When a call for peaceful protests in support of Korean independence came in spring 1919, a 16-year-old girl named Yu Gwan-sun became the face of a nation’s collective yearning for freedom.

Yu was a student at Ewha Haktang in Seoul, which was established by American missionaries as the first moder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women in Korea. On March 1, 1919, Yu and four classmates joined others taking to the streets with cries of “Mansei!” (“Long live Korean independence!”) in one of the earliest protests against Japanese colonial rule. Amid the demonstratio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 written by the publisher Choe Nam-seon and signed by 33 Korean cultural and religious leaders — was recited at Seoul’s Pagoda Park.

The next day, protest organizers came to Ewha Haktang and encouraged Yu and her peers to join a student demonstration to be staged in three days. On March 5, she and her classmates marched at Namdaemun, a gate in central Seoul. They were detained by the Japanese authorities, but missionaries from the school negotiated their release.

ADVERTISEMENTContinue reading the main story

The colonial government retaliated quickly, ordering all schools closed on March 10. A few days later, Yu returned to her hometown, Cheonan, about 53 miles south of Seoul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ith a smuggled copy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She went from village to village spreading word of the Samil (literally “three-one,” or March 1) Movement and rallying local residents to organize their own protests.

The movement quickly took hold. Early on April 1, 3,000 people gathered at Aunae, a marketplace in Cheonan. Yu was there, distributing homemade taegeukgi, or Korean national flags, and giving speeches calling for independence.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arrived and fired on the crowd, killing 19 people. Yu’s parents were among the dead.

By the time the authorities quashed the protests a few weeks later, an estimated two million people out of a population of 20 million had participated in 1,542 pro-independence marches, according to Djun Kil Kim, author of “The History of Korea.” More than 7,000 people had been killed, and about 46,000, including Yu, had been jailed. After being convicted of sedition, she was sent to Seodaemun Prison in Seoul.

At Seodaemun, Yu demanded the release of other prisoners and continued to express her support for Korean independence. She shouted at her Japanese captors and, with other inmates, organized a large-scale protest on the first anniversary of the March 1 Movement.

“Even if my fingernails are torn out, my nose and ears are ripped apart, and my legs and arms are crushed, this physical pain does not compare to the pain of losing my nation,” she wrote in prison. “My only remorse is not being able to do more than dedicating my life to my country.”

Editors’ Picks

Overlooked No More: Janet Sobel, Whose Art Influenced Jackson PollockA Brief History of Summer ReadingTa-Ta to ‘Teetering Tabloids’: Keith Kelly Signs Off

Posted in강연후기

김해경_모던걸 모던보이의 근대공원 산책

김해경교수는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공원에 사람의 온기와 역사를 삶과 역사를 보여주었습니다. 여러 공원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 공원에서 사람들이 무엇을 했는지 등을. 북토크인데도 답사같기도 해서 무엇보다도 재미있었습니다. 무엇을 기억할지를 둘러싼 논란에, 그는 ‘역사적 층위’를 이야기했습니다. 청산하고자 싶은 역사를 그냥 지워버리기 보다 시대마다 역사적 층위를 만들어가자고…

Posted in강연후기

도다 이쿠코_80년전 수학여행

도다 이쿠코선생은 사진작가 류은규씨와 함께 인천관동갤러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모은 귀한 자료들을 전시하고 책으로도 만들었습니다. 80년 전 수학여행은 용정에서 시작해 함흥-금강산-경성-평양-하얼빈으로 돌아오는 6주정도 여행코스였습니다. 그들이 모은 엽서와 사진 은 1937년부터 1940년 무렵 만주와 한반도의 풍경과 풍속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반쪽자리 한반도 보다 더 넓은 세상과 사람들이 바로 눈 앞에 있는 듯했습니다.

Posted in강연후기

유신일_골프왕

세계 13개의 골프장을 가진 유신일 기업인의 성공스토리입니다. 뻔할 수도 있는 이야기였는데 뻔하지 않았습니다. 그가 살았던 삶에서 소박한 진심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몇십년을 함께한 그의 친구들과의 우정은 무척이나 부러웠습니다.

Posted in강연후기

김경민_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김경민교수님은 디벨로퍼이기도 합니다. 그가 건축왕 정세권을 발견한 것은 자연스런 관심때문입니다. 경성생활에 꼭맞는 근대 한옥단지를 건설한 정세권이란 인물의 복원은 경성 그 자체의 복원이기도 합니다.

Posted in강연후기

신일용_벨에포크

 만화책 ‘아름다운 시대, 라 벨르 에뽀끄’는 작가 신일용의 데뷔작입니다. 파리코뮨에서 1차대전 이전의 유럽은 왠지 그리움을 자아내는 시대입니다. 그런데도 이 시대 자체를 다루는 책을 찾기는 쉽지않습니다. 신작가는 이 시대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까지 이야기했습니다. 시대를 관통해 역사를 보는 그의 과감함으로 역사의 시야가 한껏 넓어졌습니다.

Posted in종합

하루천자 뉴스레터 신청

#mc_embed_signup{background:#fff; clear:left; font:14px Helvetica,Arial,sans-serif; width:200px;} /* Add your own Mailchimp form style overrides in your site stylesheet or in this style block. We recommend moving this block and the preceding CSS link to the HEAD of your HTML file. */

Subscribe

* indicates required
이름 *
Email Address *
하루천자

  • 네오스마트펜 사용자
  • 만년필_펜
  • 기타

(function($) {window.fnames = new Array(); window.ftypes = new Array();fnames[1]=’MMERGE1′;ftypes[1]=’text’;fnames[0]=’EMAIL’;ftypes[0]=’email’; }(jQuery));var $mcj = jQuery.noConflict(true);

Posted in강연후기

송은영_서울탄생기

한국전쟁 이후 서울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서울도시계획이야기'(손정목)가 위로부터의 이야기라면 송은영작가는 소설에서 표현된 60~70년대 서울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압구정 현대아파트의 건설될때 보이는 소가 쟁기끄는 모습, 그리고 광주대단지이야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