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inIT클럽행사

한국 첫 방한한 프랭크 게리, “작가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건축물 중요”

–       홍라희 리움 관장 인연으로 방한 
–       “건축가라면 자신의 열정을 건축물에 실현시켜야…”

소슬기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0709erica@gmail.com

세계적인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Gehry, 83)가 한국을 찾았다.

5일 미국 건축가 프랭크 게리가 서울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을 방문해 자신의 주요 건축물과 그에 얽힌 스토리를 주제로 강연했다. 그의 첫 한국 강연은 홍라희 리움 관장과의 인연을 계기로 성사됐다.

프랭크 게리는 캐나다 태생의 미국 건축가로, 개방적이며 파격적인 건축 성향으로 유명하다. 미국, 유럽, 아시아 지역에 주변 환경 및 문화를 반영하는 공공 및 사립 건물들을 지어왔다.

스페인 빌바오의 ‘구겐하임 미술관’과 ‘월트디즈니 콘서트홀’은 그의 대표작이다. 특히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은 전시 미술품보다 더 유명한 미술관으로 불릴 정도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다.

 

그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불상을 보면 작가의 생각을 읽을 수 있지 않느냐”면서  “건축가도 건축물을 통해 자신의 느낌을 표현하고 보는 이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카티아 소프트웨어의 발달로 예전에는 불가능했던 디자인이 예산범위 내에서 건축할 수 있다”며 “건축가들은 얼마든지 자신의 열정을 건축물로 실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카티아는 항공기와 공업 디자인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로, 프랭크 게리가 카티아 소프트웨어를 처음으로 건축업계에 들여왔다. 이후 장 누벨, 자하 하디드 등 유명 건축가들도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평소 아시아 문화에 관심이 많다는 그는 “몇 년 만에 방문한 한국에 수많은 건축물들이 들어선 모습에 놀랐다. 하지만 왜 한국의 전통 문화가 깃든 건축물은 없는가”라는 아쉬움을 내비치기도 했다.

특별히 애정을 가지고 있는 작품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그는 “세 명의 자식 중 가장 아끼는 자식을 하나 말하면, 나머지 둘은 얼마나 서운하겠는가”라며 자신의 작품 중 한 작품만을 꼽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Posted inIT클럽행사

2012 이태원 앤틱 가구 벼룩 시장 열린다

– 10월 18일부터 10월 21일까지 이태원 앤틱 가구거리에서

– 정통 유럽 스타일 가구가 많아

/류현정 마이시티스토리 편집장  mycitystory.korea@gmail.com

 오래된 물건엔 가을의 향기와 세월의 무게를 고스란히 담고 있지 않을까.  이태원 앤틱가구협회가 주최하고 이태원관광특구협회가 후원하는 ‘2012 이태원 앤틱 벼룩시장’이 2012년 10월 18일부터 10월 21일까지 이태원 앤틱 가구거리에서 열린다.

이태원 해밀턴 호텔에서 이태원 천주교 성당 방향으로 가는 길은 80여 개의 앤틱 가구 상가들이 즐비한 이태원 가구 거리. 유럽 정통의 앤틱 가구로 주로 취급하는 이 곳은 이태원의 명물 거리로 앤틱 가구 시장으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앤틱 벼룩 시장이 열리는 축제 기간에는 인테리어 소품과 가구를 최대 80%까지 저렴하게 판매한다.  김영철 이태원 앤틱가구협회 회장은 “평소보다 50%에서 최대 80% 저렴한 가격의 골동품을 이 기간에 만나볼 수 있다”면서 “좋은 물건을 더 저렴한 가격에 구하기 위해 이곳 저곳 발품을 팔 필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Posted inIT클럽소개

연지센, 12일 샌드위치포럼 개최 “함께 만들어가는 공유도시 서울”

 – 김기현 서울시 혁신기획팀장이 ‘공유 도시’라는 주제로 발표

/류현정 마이시티스토리 편집장  mycitystory.korea@gmail.com

연결지성센터는  오는 12일 낮 12시 센터 교육장에서 김기현 서울시 혁신기획팀장을 모시고 샌드위치포럼을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함께 만드는 공유도시 서울’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샌드위치포럼에서 김 혁신팀장은 고령화, 건강, 교육 범죄 등 대다수 대도시가 지닌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서울시의 전략을 공유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최근 도시 혁신 키워드로 ‘공유도시’를 꼽고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관악구에서는 거주자 우선주차 구역을 공유하는 프로그램 ‘해피투게더’를 실행하고 있다.  시민이 사용하지 않는 시간에는 다른 자동차가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주차장을 잘 공유해도 시 예산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서울시 측의 설명이다 .

공유도시는 공유를 통한 이른바 ‘협력적 소비’로  자원 활용을 극대화하고 공동체 의식을 회복해 도시를 활성하하자는 개념이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도공유도시 워킹그룹을 만들어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포럼 참가비는 무료.  점심은 1만원. 

포럼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면 된다.

참가 신청 바로 가기 

연결지성센터_샌드위치포럼_김기현 팀장 

Posted inIT클럽소개

모든 사람은 예술가…만인의 예술가 기획전 열린다

– 대한민국 미술계의 비엔날레인 9월, 우린 ‘안티-비엔날레’
– 모든 사람이 예술가…1000여명에 달하는 작가들 참가

민경인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barammki@gmail.com

Keep Drawing, 500여명의 일반인 공동제작 애니메이션, 2012, 인사아트센터

미디어아트 미술관인 아트센터 나비(관장 노소영)는 9월 한 달간 기획전을 개최한다.

아트센터 나비가 개최하는 이 기획전은 ‘만인예술가 Lay artist’라는 제목으로 열린다. ‘레이 아티스트’는 일반인 또는 평신도라는 뜻의 레이맨(layman)에서 따온 신조어다. ‘모든 사람이 예술가’라는 슬로건에 걸맞게 1000여명에 달하는 작가들이 참여한다.

개막식은 9월 4일 장충동 무하재(서울시 중구 장충동 89-1)에서 열린다. 이외의 전시장소는 아트센터 나비, 해피윈도우, 해피스퀘어, 코모, 무하재다.

미래이야기, 2012, 문래예술공장 박스시어터, 서울역, 태국 메솟,일본 센다이, 웹 동시 생중계


아트센터 나비 관계자는 ‘’헌 옷과 빈 방을 서로 공유하면서, 소유보다 의미 있는 ’공유‘의 경제를 실험하는 키플(Kipple)과 코자자(Kozaza) 같은 기업들 역시 창조활동가, 즉 ‘만인예술가’들”이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12년 9월은 우리나라 미술계의 비엔날레 기간으로 9월에 개최하는 광주비엔날레 등은 국제 미술계에서 주목 받는 스타 작가로 구성된다”며 “아트센터 나비의 ‘만인예술가 Lay artist’는 일종의 ‘안티-비엔날레’가 되는 셈”이라 전했다.

기획전은 2012년 9월 4일부터 10월 6일까지 열리고 관람 시간은 오전 11시부터 저녁 7시까지다. 단 추석 연휴 및 국경일은 전시를 쉰다. 또한 9월 8일(장충동 ‘무하재’), 9월 9일(아트센터 나비)은 컨퍼런스로 인해 전시를 관람할 수 없다.

◆  행사 정보
○ 컨퍼런스 : 제9공화국 – 시민의 품격
협업, 공유, SNS, IT 등을 이용해 품격 있는 시민, 문화창조자가 되고 그들이 세워나갈 국가라는 의미인 ‘제9공화국 – 시민의 품격’이다. 어떻게 하면 무엇이 이들의 가슴을 뜨겁게 하고, 아이디어를 내고, 실천할 수 있을지 이야기한다.

행사기간은 9월 8일부터  9월 9일, 행사장소는 9월 8일 장충동 무하재와 9월 9일 아트센터 나비.

○ 부대행사 : 극단 샐러드 ‘미래 이야기’
전문 배우가 아닌 이주민 여성들이 배우, 스탭으로 활동하는 극단 샐러드는 ‘난민’과 경계인‘의 문제를 재조명한 로드 연극 <미래 이야기>를 공연한다. 극과 영화, 그리고 공공예술이 결합된 작품으로 연출자는 카메라를 들고 경계인들을 만나기 위해 지진 해일 피해를 입은 일본 센다이와 태국 버마 난민촌을 실시간으로 연결한다

행사는 9월 21일 오후 4시부터  5시 40분까지 진행되고 행사장소는 아트센터 나비.

○ 특별공연 : 더 라스트 월 비긴즈(THE LAST WALL BEGINS)
아트센터 나비는 이 공연을 뉴미디어를 활용한 공연 예술로 무용과 연극 그리고 음악과 패션뿐만 아니라 영상미술을 통합하는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한 첫 걸음이라 소개했다.
‘더 라스트 월 비긴즈’는 ‘분단국가인 대한민국에서 예술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으로 시작한다. 공연 제작진은 분단 국가의 소망인 ‘재통일’을 추진하는 주체에 말하고자 한다.

공연일시는 9월 13일부터 9월 16일까지, 공연장소는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워크숍 : Tech. D.I.Y
행사는 9월 22일 오후 2시부터 오후 5시까지. 장소는 장충동 무하재. 초등학생 1~3학년 어린이 15명을 대상으로 한다. 행사내용은 핸드 메이드를 통해 배우고 즐기는 기술이다.

○ 워 크 숍 :  사운드아트
행사일시는  9월 15일 오후 2시부터 오후 7시. 행사장소는  아트센터 나비. 행사내용은  Supercollider를 활용한 피지컬 사운드 컨트롤.

Posted inIT클럽행사

외국인 거주자의 든든한 조력자 ‘외국인 주민센터’

민경인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barammki@gmail.com

vwCMMieh4frFcNgU-dP7sn2FMSAJEykZqqqkma9OBLV0xqOcuR4K6Oq3BYyFzo8eogOJ1OZqBKBdMs9m2wUiQwt7A24l6zNOc0lPpR7nqYNN_ou2RAA
▲설날행사에 참여하는 내·외국인/출처 : 이태원·한남글로벌빌리지센터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에게 가장 큰 걱정은 현지 적응과 다른 언어로 인한 불편함일 것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외국인 거주 지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빌리지 센터가 생겨나고 있다. 외국인 전용 주민센터는 2008년 1월 마포구 동교동에서 처음 문을 였었다. 현재 서울에서 운영중인 글로벌 빌리지 센터는 총 7곳을 운영하고 있다. 이 글로벌 빌리지 센터들은 거주 외국인 출신지를 고려해 맞춤 활동을 벌인다.

이태원·한남동은 다양한 국적의 외국인이 거주한다. 따라서 이태원·한남 글로벌 빌리지 센터는 무료 한국어 강좌와 송편 만들기 등 한국 문화 프로그램 등과 같이 모든 외국인들이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외국인뿐만 아니라 내국인들도 이 센터에서 외국어 강좌와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커뮤니티와 연계해서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들과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이태원·한남 글로벌 빌리지 센터는 이 일대의 거주하는 외국인들을 위해 티켓 예매, 은행 업무 등의 사소한 민원까지도 처리해준다. 이 센터는 방문 상담뿐만 아니라 온라인·전화 상담까지 가능하다.

이태원 글로벌 빌리지 센터에서 진행하는 프로그램과 정보는 홈페이지(http://global.seoul.go.kr/itaewon)에서 확인할 수 있다.

Powered by My City Story

Posted inIT클럽행사

용산 아트홀, 위안부 할머니 위한 사진전,콘서트 개최 계획

– 사진작가·뮤지션들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위한 재능 기부’

양승호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cocodas89@gmail.com

CCP-xiglPnyn8N6K1yMNW-cqGY8kFRlCtIqQomeFT6pVX6uEFo1m4D0bmrQQsG2UaEUqAkkyg5wNNAFB7R1KjhIz7vleG4HAZ4xaFXPRb0KM2T_dA_g

9월 10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용산구청 아트홀에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콘서트와 사진전이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진실을 사진과 노래로 기억하려는 계획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일본에 사는 위안부 할머니의 법정 싸움을 다룬 영화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의 안해룡 감독을 중심으로 하여 사진작가 신동필, 허현주, 김지연, 이상엽,안세홍 등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사진과 증언을 담은 작품 등을 전시한다.

11일에는 안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나의 마음은 지지 않았다’가 용산구청 아트홀에서 오후 4시와 6시 두 차례 상영된다.

또 콘서트는 12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 여성을 위한 헌정 앨범 ‘이야기해주세요’에 참여한 소규모 아카시아밴드의 송은지를 비롯해 정민아, 소히, 지현, 시와, 투명, 황보령 등 여성 뮤지션들이 참여한 가운데 펼쳐진다.

주최 측은 “이번 행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을 기리며 사진과 음악, 영화 등을 통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 세우려는 시민들의 외침”이라고 밝혔다.

이 행사는 전쟁평화여성 문화행동 시민위원회에서 주관하고 용산문화원 민족문제연구소 등이 후원한다.

Powered by My City Story

Posted inIT클럽행사

‘제 2의 가로수길’ 한남동 T자골목

-패션디자이너, 아티스트들의 또 다른 아지트 ‘한남동 T자 골목’

양승호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cocodas89@gmail.com

A091wSDefpyxJqcdRqhKQoYaJVeytnieoDoLdc2GWiy-55bRfItgsOzAn7zC2eaAK6a91hbDhPFStiz2MJVKwqTJ6HI5wQp-9WzDOxh71LhLQCTWtHA
▲‘제 2 가로수길’로 부상하는 한남동 T자 골목

서울 용산구 한남동 뒷골목인 ‘T자 골목’이 패션디자이너 및 아티스트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패션디자이너와 아티스트들에게 좁은 골목과 계단은 신·구 문화가 공존하는 따뜻한 풍경으로써 중요하다. 이곳은 파리나 영국 등 유럽의 뒷골목과 같은 자유로운 정서를 느낄 수 있다.

T자 골목에 들어선 패션숍의 디자이너들 중에는 유럽 유학파가 많다. 런던 출신의 인기 디자이너 스티브J, 요니P 부부의 숍을 예로 들 수 있다.

카페와 상점을 운영하는 사장들은 가게 공간을 음악, 공연, 미술을 하는 아티스트들에게 ‘문화공간’으로 대여도 하고 있다. 아티스트들은 이 상점들을 비싼 수수료와 대관료를 물지 않고도 값싸게 이용할 수 있다.

‘웨이즈오브시잉(WAYSOFSEEING)’카페의 임정윤 사장은 “어떤 장르든 창작을 위해 노력하는 이들이라면 환영”이라며 “ 이곳을 찾은 손님들이 사진,음악,영상,음식, 등 다양한 장르의 문화를 마음껏 즐겼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Powered by My City Story

Posted inIT클럽행사

재즈 기타리스트 ‘래리 칼튼’, 첫 단독 내한


재즈와 블루스 넘나드는 다채로운 무대 선보인다

김현진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pooh927k@gmail.com

세계 정상급 재즈 아티스트 ‘래리 칼튼’의 내한공연이 오는 9월 8일 블루스퀘어 삼성카드홀에서 열린다.
‘래리 칼튼’은 래미상을 4번이나 수상한 세계적인 뮤지션이다. 단독 내한은 처음이다. 2002년, 밴드 ‘포플레이’의 기타리스트로 처음 한국 땅을 밟았다.

1968년, 앨범 ‘어 리틀 헬프 프롬 마이 프렌즈(A little Help From My Friends)’로 데뷔했다. 이후 1998년부터 2010년까지 재즈 밴드 ‘포플레이’의 기타리스트로 분했다. 그래미상에만 20여 차례 이상 노미네이트 됐다.

개성 있는 연주를 선보인다. 경쾌한 재즈와 분위기 있는 블루스를 넘나드는 무대로 꾸민다.

한편, 이번 공연에는 그의 아들인 트래비스 칼튼이 베이스 기타를 연주한다.

Powered by My City Story

Posted inIT클럽행사

서울 속 작은 ‘이슬람의 섬’ , 이태원 이슬람사원

– 1976년 한국 최초의 이슬람 사원으로 건립돼

– 정문의 아라베스크 문양과 정교한 미흐랍이 보는이로 하여금 감탄 자아내

강한웅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maxorgf@gmail.com

6호선 이태원 역 3번 출구에 내려 정방향으로 10여분정도 올라가다보면 길 오른편에 나무로 된 가파른 계단을 발견하게 된다. 계단을 올라 굽이진 골목길을 찾아들어가면 ‘HALAL’ 이라는 간판이 눈에 들어오는 골목에 다다른다. 그 골목길 속에 서울 속 작은 이슬람, 이태원 이슬람 사원을 만나게 된다.

정식 명칭은 ‘서울 이슬람 중앙성원’ 이다. 1970년대 초, 한국은 경제 발전을 위한 석유자원의 확보를 위해 중동 국가들과 친교를 맺을 필요가 있었다. 박정희 대통령은 중동 국가들과의 친교를 위해 이슬람 사원 건립을 결심하고 서초동 쓰레기 매립장 부지와 이태원 부지를 후보지로 하여 사원 건립을 추진한다.

이태원 지역이 건립 부지로 최종 결정되고 이슬람 국가들의 지원을 받아 1974년 10월에 건설을 시작한다. 1년 7개월만인 1976년 5월에 한국 최초의 이슬람 사원인 서울 이슬람 중앙성원이 들어섰다.

N4ZKAmGhPR0LKCaKEUa5YeMy7TVFFVREjD-xFwGeB5Bs9-ykxwpC9N3NeZn6Q8N6eaGg1Umczszi653aCBhbCHvpRqiVYx0JYTruKx2cxhNf3E1hoAY
▲ 이태원 이슬람 사원의 정문 모습

한적한 삼거리에 우뚝 솟은 정문은 코발트 빛깔의 아라베스크 문양으로 화려하게 채색되어 있고 포인트 아치형 입구 위에는 ‘하느님 외에는 다른 신은 없습니다. 무함마드는 그 분의 사도입니다’ 라는 문구가 적혀있다. 정문에 이런 문구가 적혀 있는 이유는 한국 사람들이 기독교의 예수처럼 무함마드를 하느님과 일체된 존재로 흔히들 알고 있어 이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라고 한다.

정문을 지나 언덕 위로 올라가면 사원이 그 모습을 드러낸다. 사원은 정면 모습을 강조하여 전체적으로 보는 이로 하여금 웅장한 느낌을 받게 하고 이슬람 사원의 특징 중 하나인 미나렛(탑) 한 쌍의 우뚝 솟은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yepc8T8MdkwbtS08m5AuwIlXNVQuUzQrb1RRnsUqUThkFDz33hFP_EadVSjQeK8obXxELHdsJK7TnBb5b7wOtg4842gyCdRtBjGYNsCckD_YSv5Qlw8
▲ 사원 내부의 모습. 가운데가 미흐랍이고 오른편 계단같은 목조물이 민바르다

사원 안은 소곤대는 몇몇 신도의 작은 목소리를 제외하고는 정적이 흐르고 있었으며 모두 경건한 자세로 절을 올리고 있었다. 사원 정면에는 미흐랍과 민바르가 있다. 미흐랍은 메카의 방향으로 알려주는 석조체이고 민바르는 예배 인도자인 이맘이 올라가 예배를 하는 곳이다.

예배를 막 마치고 돌아가려는 검은 피부의 중년 남성의 뒷모습은 한없이 평화로워 보였다. 그리고 그 뒷편으로 땅거미가 조용히 지고 있었다.

Posted inIT클럽행사

국토해양부,용산공원홍보UCC공모전’개최

-용산공원의 가치와 비전 알리기 위한 행사

-우수작은 용산공원 홍보에 직접 활용

손유경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ssonnoo124@gmail.com

국토해양부가 용산공원 조성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참여를 높이기 위해 ‘용산공원 홍보 UCC 공모전’을 개최한다.

wXB7c57YjphDzGUGMgNri4H3sZQTjfXtk4ky8zQW5HjsBw6wblYYMZs97hhQIWU8iHrUqsO76mqINS-D6Dm6arhT-tHqRtaJain-KmsNkJRKVP0EW40

이번 공모전은 국내 최초의 국가도시공원으로 조성될 용산공원의 가치와 비전을 국민에게 알리고 조성 과정에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그간 추진해온 아이디어 공모, 국민제안, 스토리텔링 공모, 인쇄광고 공모 등에 이은 국민 참여 행사의 일환이다.

용산공원은 2016년 반환 예정인 용산 미군 기지 부지에 국가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며, 면적은 2.4㎢로 여의도(2.9㎢, 윤중로 둑 안쪽 신시가지 면적 기준)와 비슷하다. 2007년 6월 용산공원 조성 특별법이 통과된 이후 국토해양부(당시 건설교통부)는 용산공원 조성 사업을 추진해왔다.

참가 자격은 특별한 제한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9월 3일부터 10월 5일까지 공모전 홈페이지(www.park-ad.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접수하면 된다. 주제는 ‘용산공원의 미래상에 대한 기대감을 높일 수 있는 재미와 감동을 담은 UCC 동영상’ 이며, 1분에서 3분 이내의 분량으로 제작해야 한다.

수상작은 홍보전문가, 대학교수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10월 13일에 최종 발표되고, 대상에 국토해양부장관상장 및 상금 500만원 등 총 12명에게 1,650만원을 수여한다.

우수작은 향후 용산공원 홈페이지, 국토해양부 홈페이지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용산공원 홍보에 직접 활용할 계획이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공원 조성 과정에서 국민에게 다양한 참여 기회를 제공하여, 용산공원을 국민과 함께 만들어 가는 열린 공원이 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owered by My City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