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inIT클럽행사

나는 나일뿐, 이태원의 게이바

– 금호동을 시작으로 현재 이태원·종로에 밀집

– 90년대 중반 관광특구지정으로 이태원 게이바 급증

– 지역별 게이바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민경인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barammki@gmail.com

지난 8월 15일 MBC ‘황금어장-라디오스타’에서 뮤지컬 배우 정성화가 뮤지컬 라카지(la cage aux falles)의 대표곡 ‘I am what I am’을 열창했다.

그는 이 곡을 성(性) 소수자에게 애국가와 같은 곡이라 소개했다. 그는 이 노래가 “나는 나일뿐 누구도 아니야. 내가 선택한 이 삶이 가장 행복하고, 아름답고 멋져 보여”라고 메시지를 던진다고 말했다.

과거 동성애자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은 동성애자들은 음지로 몰아넣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성 소수자에 대한 인식도 변하고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게이(남성 동성애자)에 대한 불편한 시선은 남아있다. 이런 시선을 피해 게이들은 자신들만의 성(城)인 게이바를 구축해나갔다.

이태원은 다양한 국가의 외국인뿐만 아니라 성 소수자들이 자주 찾는 장소로 유명하다. 레즈비언, 트랜스젠더, 게이들의 핫 플레이스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이태원의 게이바는 그리 오랜 역사를 갖고 있지 않다. 우리나라 게이바의 시작은 1960년 말 금호동이라고 전해진다. 금호동 일대에서 게이바가 생겨나면서 1970년대 후반에 을지로에 게이바 ‘아담’이 문을 열었다. 이후 1980년 초부터 종로에 게이바가 번창하기 시작하면서 을지로의 게이바들은 자취를 감췄다.

이후 1995년 이태원에 게이바 ‘터널’이 생겼다. ‘터널’은 이태원 최초의 게이바다. 1996년에는 ‘터널’과 ‘파슈’에 이어 세 번째로 생긴 게이바 ‘트랜스’를 중심으로 이태원에 게이바가 생겼다. 또한 1997년 9월에 이태원이 관광특구로 지정되면서 이태원의 게이바의 수가 본격적으로 늘어났다.

현재 이태원 게이바들은 해밀턴 호텔 맞은편에 밀집돼 있다. 지역마다 게이바의 특징이 있는 것도 재밌는 부분이다. 이태원의 게이바는 주로 클럽 형태이며 종로와 달리 개방적이다. 또한 이곳을 찾는 게이들이 20~30대로 한정돼 있는 것도 특징이다.

Powered by My City Story

Posted inIT클럽행사

개성 넘치는 한남동 ‘IP부티크호텔’

– 개관 당시 뉴욕 타임스에서 서울에서 꼭 가봐야 할 곳으로 선정

배우리 연결지성센터 인턴 기자 wooly7290@gmail.com

서울 한남동에 독특한 디자인을 지닌 ‘IP 부티크 호텔’이 있다.

NITh3PvEr3zEPnS0y-opjIOGWA9ABB7i62XJGbw3hVRklvv1nzR0quK6y3wcPslzzQsuxUgFU-SgjRhXFgE6FdTEl3Y4CJDq0W9J3JWEnb62nTLzIso

<한남동 IP부티크 호텔>

‘부티크 호텔’의 개념은 1984년 모간스 호텔그룹(Morgans hotel Group)의 첫번째 호텔인 모간스를 디자인한 아인슈레거(Ian Schrager)에 의해 도입됐다. 이는 여행객을 위한 숙소로서의 호텔이 아닌 라이프스타일을 즐길 수 있는 문화, 예술,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서 주목하게 되었다. 그 이후 독자적인 컨셉의 소규모 호텔을 지칭하는 ‘부티크 호텔’이 탄생했다.

한남동 ‘IP부티크 호텔’ 역시 지난 2010년 개관할 당시부터 독특한 컨셉으로 뉴욕 타임스에서 ‘서울에서 꼭 가봐야 할 곳’으로 소개되는 등 사람들의 이목을 모았다. 또한 로비와 엘리베이터에도 예술 작품 등을 전시하여 고객들의 감성적인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특급호텔이 갖춘 레스토랑, 바, 피트니스 센터 등의 일부 시설을 없앤 대신에 곳곳에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IP부티크 호텔’은 객실당 숙박비 10만~20만원대로 기존 비즈니스 호텔과 비슷하며, 외국인 관광객이나 젊은 층의 고객들을 보유하고 있다.

Powered by My City Story

Posted inIT클럽행사

도심속숲의향기,용산유아숲체험장

– 성장 초기 아이들 위한 숲체험장 개방

– 인근 10개 구 교육기관에도 참여 기회 제공

손유경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ssonnoo124@gmail.com

용산구가 도심 아이들의 자연학습을 위한 숲체험장을 무료로 개방해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 8월 6일 개장한 용산 ‘유아숲체험장’은 응봉공원 내 한남동 산8-1번지 일대 약 1만 제곱미터의 면적의 자연 학습장이다.

유아숲체험장은 시에서 예산을 지원받아 숲속 유아쉼터를 비롯, 세족장등의 보조시설과 경사놀이터, 숲소리음악대, 사슴벌레쉼터, 모험놀이마당, 나무공작소, 전망쉼터 등 6개의 자연형 놀이터를 설치했다. 또한 아이들의 체험을 도와 줄 보조교사 2명이 상주한다.

유아숲체험장은 성장 초기 단계에 있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관내 초등학교, 유치원 등의 접수를 받아 자연 학습의 장으로 활용하고 있다. 월요일부터 목요일은 오전, 오후를 나누어 각각 3시간동안 2개 기관씩 참여하고 금요일은 종일반으로 5시간동안 2개 기관에서 참여하고 있다. 현재는 어린이집이 주로 신청하고 있어 오전반 위주로 활용 중이다.

용산구 관계자는 “현재 참여하고 있는 10개 기관 외에 8개 기관을 추가로 접수 받고 있다”며 “어린이집, 유치원 등 아동 보육기관이 아니더라도 다문화가정이나 장애아동이 있는 기관이라면 어디든 환영”이라고 전했다. 또 “자연체험을 주변 이웃과 나누자는 취지에서 용산구에 한정하지 않고 인근 10개구에서도 참여 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신청은 용산구 공원녹지과에 방문하여 접수할 수 있으며, 선발된 기관은 지정한 요일에 연말까지 사용 할 수 있다. 평일에는 사전 예약된 기관만 참여할 수 있으나 주말에는 완전 개방하여 지역주민들의 자연학습장과 휴식처로 운영한다.

성장현 용산구청장은 “우리 아이들이 점점 사라져가는 깨끗한 자연의 모습을 눈으로 보고 숲이 주는 행복을 느낄 수 있도록 체험장을 조성했다”며 “이외에도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데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Powered by My City Story

Posted inIT클럽행사

리움(Leeum)에서 세계적 건축 거장 ‘프랭크 게리’ 강연

– 건축, 문화예술 학도와 종사자 200명 대상 강연

–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 지은 해체주의 건축의 세계적 거장

강한웅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maxorgf@gmail.com

‘리움(Leeum)’에서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Gehry)’가 강연한다.

rNaN7NDX51uXJJLCjXKnc5tFdFmhT9083Hwwf6CFN-SOAl3DmeZSuz49Jm-1c_H06T6gbDq390bbFXu8-CDzGhmaevyg5E5blECgFF_bjGAs9GftLic
▲ 프랭크 게리(Frank Gehry)/출처 = 개인블로그

 

한남동에 위치한 삼성미술관 리움은 홈페이지를 통해 세계적인 해체주의 건축 거장으로 꼽히는 프랭크 게리가 오는 9월 5일에 강연한다고 밝혔다. 강연 주제는 ‘프랭크 게리에게 미래를 묻다’ 로 선착순으로 모집한 200명의 건축, 문화예술 전공 학생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강연이 진행된다.

1929년 생으로 올해 나이 83세인 프랭크 게리는 미국 남캘리포니아대학교 건축학과를 나와 하버드대학교 설계대학원에서 도시계획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79년부터는 예일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1989년에는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했고 릴리안 기쉬상, 프레드리히 키슬러상, 우드로 윌슨상 등 다수의 상을 받았다.

RosWuUNgr_VDVKU9VbSnjDrA80r97Bgz8t2KLB57G9g-l-BAkYTHUBWh7TtTb1hhzfovrZOO6aZnuyaMLnT-iKgtXJs2dU9lXMQED02m_2R-fcHhKi4
▲ 스페인 빌바오에 있는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Guggenheim Bilbao Museum)/출처=조선DB

프랭크 게리가 설계한 ‘대표작’ 으로는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Guggenheim Bilbao Museum), 월트 디즈니 콘서트 홀(Walt Disney Concert Hall)이 있다. 그 중에서도 구겐하임 빌바오 미술관은 ‘작품보다 건축물이 더 유명한 미술관’이라는 평과 함께 쇠락하던 공업도시인 빌바오의 지역경제를 살린 주역으로까지 평가받는 세계적인 건축물이다.

강연시간은 오후 4시부터 5시 30분까지이며 참가비는 무료이다. 참가 신청은 8월 21일부터 9월 3일까지 리움 홈페이지를 통해 할 수 있다.

Powered by My City Story

Posted inIT클럽행사

호가든,이태원서’호가든파파라치킹애프터파티’개최

– 한채영과 함께 하는 맥주 파티… 최고의 파파라치는 누구?

손유경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ssonnoo124@gmail.com

이태원에서 배우 한채영과 일반인들이 함께 하는 맥주 파티가 있을 예정이다.

호가든은 오는 24일 저녁 8시 한남동에 위치한 카페 웨이즈오브시잉(WAYS OF SEEING)에서 배우 한채영이 특별 게스트로 참여하는 ‘호가든 파파라치 킹 애프터 파티’를 개최한다.

7cHk9kI5-ihtoGYNmMihbkXGGEiAXfCAkbEJOa44eaiazO-xo9tvJE3QhLVo-b9J8-8wjBmxBK0KUpob38XTCEqF0I4FW9ufipEn0BkAFpob7w66SZM

이번 행사에서는 호가든이 최근 진행한 ‘호가든 파파라치 킹 이벤트’ 참여자 중 최종 선정된 50명을 파티에 초청하여 함께 특별한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호가든 파파라치 킹 이벤트’는 호가든 맥주와 함께 찍은 인물 사진을 온라인상에 업로드해 응모하는 이벤트로, 지난 7월 19일부터 8월 16일까지 진행됐다. 배우 한채영은 이벤트에서 최고의 파파라치 컷으로 선정된 영예의 주인공 3인을 직접 시상하고, 참가자들과 함께 파티도 즐길 계획이다.

주최측은 입장 전에 야외테라스에서 파티의 분위기를 띄워줄 포토존을 설치, 운영한다. 아울러 파티참가자들이 전문가에게 ‘호가든 육각전용잔’에 호가든을 따르는 법을 배우는 등 호가든을 직접 체험하는 시간도 마련해 파티의 흥을 한껏 돋울 예정이다.

호가든 관계자는 “‘호가든 파파라치 킹 이벤트’ 참가자들에게 호가든만의 특별한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이번 파티를 마련했다”며 “특별 게스트 한채영씨와 함께 최상의 호가든을 즐기는 감동의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Powered by My City Story

Posted inIT클럽행사

‘다큐의 축제’ EBS국제다큐영화제 열린다

– 17일 용산아트홀 대극장에서 개막식 열려

– 영화제 기간동안 정규프로그램 중단…특별 편성으로 채워

– 다큐멘터리 제작 감독과 대화 등 다채로운 즐길거리

민경인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barammki@gmail.com

WfpKfkul2iTvhtzcWbH5HE2zboOtPjgaE-59shYQdL4Cxoz5ciAn2CCruvaWt5yWtCnbOK_eFtvS5lI0Yk7ejU2_FkLFr_4zz5mTTUYyf-QS45KVLgc

8월 17일부터 24일까지 2012 EBS 국제다큐영화제(EIDF)가 열린다.

올해로 9회를 맞은 EIDF는 영화제 기간동안 정규 프로그램을 중단하고 영화제를 위한 특별 편성에 들어간다.

EIDF2012의 주제는 ‘Play the World 다큐, 세상을 움직이다’로 세계 각국 다양한 문화권의 다큐멘터리를 상영한다.

EIDF 개막식은 8월 17일 오후 7시 20분에 용산아트홀 대극장에서 개최된다. 개막작으로는 미국의 리 허쉬(Lee Hirsch) 감독의 ‘불리(Bully)’가 상영된다.

‘불리(Bully)’는 미국 청소년과 그들 가족의 학교폭력과 왕따 문제에 대한 트라우마를 기록한 다큐멘터리다. 이 작품은 학교 폭력이라는 주제를 공론화해 전세계적으로 호평을 받은 바 있다.

개막식을 시작으로 용산아트홀뿐만 아니라 서울역사박물관, 인디스페이스, 아트하우스모모, EBS SPACE에서도 상영된다. 영화제 모든 상영작은 무료이며, 다큐멘터리 제작 감독과의 대화와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제공된다.

EIDF는 EBS가 주최하고 서울역사박물관이 후원한다. 자세한 내용은 EIDF웹사이트(www.eidf.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Posted inIT클럽행사

무궁화가 활짝 웃는 곳, 남산 야외식물원

– 광복일인 15일쯤 무궁화 23종 만개

– 과거 남산 외인아파트터…지금은 녹색 물결

– 야생화 단지, 습지 생태원 등 볼거리 다양

민경인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barammki@gmail.com

서울시는 광복절인 8월 15일쯤 남산 야외식물원에 무궁화가 만개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남산 야외식물원은 용산구 이태원2동의 남산 기슭에 조성돼 있다. 남산 식물원은 1994년 철거된 남산 외인아파트터로 1997년 개장을 시작으로 2009년 식물원 재조성을 거치면서 현재 모습을 완성했다.

남산 야외식물원은 무궁화원, 유실수원, 약용식물원, 시각장애자원 등 총 13개의 주제로 정원이 구성돼 있다.

무궁화원은 1,600㎡의 규모로 배달, 에밀레, 옥선 등 23종의 무궁화 품종 1549주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q4jjwYbKMBfLZ7qATe5EWmaI4TOu3WrOpjJBs56kayPIxU-6VDV685Znso2WZx8ElMCKOQEGlqPD6JUsrU6eRXiqK7LDwsDVret3g_qj9rG2kXzEFpU
▲ 무궁화 ‘배달’ / 서울시 제공

 

무궁화의 왕이라 불리며 우리 한민족을 상징하는 ‘배달’과 에밀레종을 연상시킨다고 ‘에밀레’로 이름 지어진 무궁화도 있다. 또한 백색의 작은 꽃으로 꽃잎이 오므라들어있는 ‘옥선’은 마치 달밤에 내려온 선녀를 연상케한다.

무궁화는 꽃의 색으로도 구분한다. 흰 꽃잎에 안쪽이 붉은 ‘백단심’과 꽃잎에 분홍색 얼룩이 들어간 ‘아사달’, 연분홍 바탕에 짙은 얼룩이 있고 줄무늬가 밖으로 뻗쳐있는 ‘영광’ 등이 있다.

무궁화 관련 단체에서는 꽃잎이 희고 중심부에 무늬가 들어간 ‘백단심’을 우리나라꽃으로 정했다.

남산 야외식물원에는 만개한 무궁화뿐만 아니라 14만㎡에 이르는 다양한 야생화 단지, 습지생태원, 실개천, 소나무 등을 보고 즐길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인원은 산벚, 꽃개오동, 마가목 등 감촉이나 향기만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식물을 심었다.

Posted inIT클럽행사

무궁화천국 남산 야외식물원은 외인아파트터

– 우리나라 고급·고층 아파트의 신호탄

– 남산의 시야를 가려 결국 철거

– 철거된 자리엔 남산 야외식물원 조성

8월 15일 광복절을 맞은 남산 야외 식물원은 무궁화 세상이다. 남산식물원터는 1994년 이전까지 남산외인아파트가 자리잡았던 곳이다.

미군 유입의 증가와 경제개발정책으로 이태원 일대의 몰려든 외국인들의 수요를 맞추고자 남산 외인아파트가 탄생했다.

남산 외인아파트는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세워진 외인 아파트다. 첫 번째는 한남동 힐탑 아파트로 두 아파트 모두 우리나라의 고급, 고층 아파트의 시작을 알렸다.

한남동 힐탑아파트가 우리나라 최초로 아파트에 엘리베이터를 설치했다면, 남산 외인아파트는 온수난방방식을 적용해 세대별로 온도조절이 가능했고 비상시 대피를 위한 옥상 헬리포트 시설을 설치한 첫 아파트다.

Z2imtLIsaeUk9WP_oPBuj5lMC5r9OIhxrEPc6sPb0cPYkyrayZO8YDIrOtKq22yt0hbqCPM4hfALfdvjjrflp3bgq4aBl9Ac5GBerU-e9JqDT84OZLs
▲ 철거전 남산 외인아파트

이처럼 남산 외인아파트는 서울의 근대 건축사를 잘 드러내는 건물이다. 하지만 1990년 서울시가 구성한 ‘남산 제모습 찾기 1백인 시민위원회’에서 남산 외인 아파트가 주변 경관을 해치고 남산의 시야를 가리고 있는 문제점을 제기했다.

결국 남산 외인아파트는 1994년 11월 20일 철거됐다. 남산 외인아파트가 발파로 무너지는 장면이 TV로 전국에 생중계됐다.

현재 남산 외인아파트가 철거된 자리는 남산 야외 식물원이 조성돼 이태원 주민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Posted inIT클럽행사

신임 주한독일대사에 롤프 마파엘 임명

– 올해 나이 57세로 30년 가까이 외무 업무 수행

– 3년 간 도쿄 독일대사관에서 근무한 경력도 있어

강한웅 연결지성센터 인턴기자 maxorgf@gmail.com

WBWtX4D1Y0s7z0dO_U0XeLaLM8YsrQTit5i4kFkLklvmv6a_liuLT9vguguQ7z_eYC42609yM5wE8R3Ma8i6ice01nz8MeyeZ3C-6xBlUSs3oQLh04w
▲ 롤프 마파엘 신임 주한독일대사/출처 : 주한독일대사관 홈페이지

 

2012년 7월에 신임 주한독일대사로 롤프 마파엘 유럽국 담당관이 임명됐다.

롤프 마파엘 주한독일대사는 1955년 9월 28일 브루흐잘에서 태어나 1974년부터 1980년까지 하이델베르크와 베를린에서 법학을 전공했다.

2차 사법고시 후 만하임 검찰청에서 근무했다. 1985년부터 독일외무부에서 근무를 시작했다. 제네바, 테헤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브뤼셀 소재 나토 상설대표부 근무에 이어 베를린으로 돌아온 마파엘 대사는 정무국 부(副)과장을 역임했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도쿄 독일대사관에서 근무했고 베를린으로 돌아와서 유럽정책조정과장을 거쳐 유럽국 담당관으로 업무를 수행했다.

주한 독일 대사관은 용산구 동빙고동에 위치해 있으며 녹사평역을 빠져나와 용산구청 방면으로 내려가면 만날 수 있다.

Posted inIT클럽행사

현대카드 공연장, 2013년에 꼼데가르송길 입성

삼성미술관 ’리움’ 맞은편에 위치

배우리 연결지성센터 인턴 기자 wooly7290@gmail.com

현대카드가 ‘문화·예술의 거리’로 발전하고 있는 꼼데가르송 길에 공연장을 지어 입성한다. 건물은 2013년 완공될 예정이며, 738㎡ 규모의 클래식 공연장으로 알려졌다.

8rvk-QPWRWeHhTkTeOyzmREeSMJtHsawH0yxdnA8qLivnDlQywBdLIXJsjknGzhQAqxgpfz0UvUpBP4-OspMPCPogdlKBhJpYh97ea2fmTuP_D5qKp8

<현대카드 클래식 공연장 조감도>

현대카드는 지난 2009년부터 클래식 공연을 연이어 주최해 오고 있다. 이는 현대카드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만족감을 제공하기 위해, 타 카드사가 쉽게 하지 못하는 부분을 생각해낸 것이다.

이번에 건설하는 클래식 공연장은 지하 6층, 지상 3층 크기에 사면이 통유리인 형태다. 건물 주변 지형의 특성상 대로변인 북서쪽에서 보면 3층 높이로 보이고, 하층부에 관람석 300석가량의 클래식 공연장이 들어서며 상층부는 현대캐피탈의 파이낸스샵과 휴식 공간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꼼데가르송 길에는 뮤지컬, 대중음악 전용관 ‘블루스퀘어’가 자리 잡고 있다. 블루스퀘어는 인터파크의 자회사인 인터파크씨어터가 건립해 지난해 11월 개관하였으며, 삼성전자, 삼성카드로부터 네이밍 스폰서를 받고 있다.

두 공연장은 서로 다른 성격을 지닌 만큼 다양한 공연마니아들을 이끌어 내, 2013년 꼼데가르송길 일대 문화·예술 부흥에 일조할 것으로 예상된다.